본문 바로가기
정보보안기사 도전

서로 다른 운영체제(OS) 간의 자원 공유를 위해 이용하는 서버로, 같은 네트워크 내 연결된 PC는 운영체제가 달라도 파일과 자원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은?

by all-but 2025. 4. 10.
반응형

보기:

  1. Samba
  2. DNS (Domain Name System)
  3. RPC (Remote Procedure Call)
  4. NIS (Network Information Service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✅ 정답: 1번 Samba


🔍 해설

문장에서 핵심적으로 강조한 내용:

  • 서로 다른 OS 간의 자원 공유
  • 파일을 주고받고, 자원을 공유
  • 네트워크 기반 공유

이 조건에 정확히 들어맞는 것은 바로 Samba입니다.


🔸 1. Samba (정답)

✅ 설명:

  • Samba는 리눅스/유닉스 시스템이 Windows 시스템과 파일/프린터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입니다.
  • SMB(Server Message Block) 프로토콜을 구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예요.
  • Samba 덕분에 리눅스와 윈도우가 서로 서버/클라이언트 관계를 맺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.

📁 예시 상황:

윈도우 컴퓨터에서 리눅스 서버의 공유 폴더에 접근 → Samba가 중간에서 통역 역할!


❌ 오답 보기 해설

2. DNS (Domain Name System)

  •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
  • ex: www.google.com → 142.250.206.68
  • 자원 공유와는 무관

3. RPC (Remote Procedure Call)

  • 다른 컴퓨터의 함수나 프로시저를 마치 내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것처럼 호출
  • 네트워크를 통해 함수 호출을 추상화하는 기술
  • 자원 공유 목적보다는 분산 처리를 위한 기법

4. NIS (Network Information Service)

  • 네트워크 내 사용자 계정, 그룹 등의 정보를 중앙 서버에서 관리
  • 자원 공유가 아니라 계정/인증 정보 중앙화 목적

🧠 핵심 요약

보기 설명 정오

Samba 서로 다른 OS 간 파일 공유 (Windows ↔ Linux)
DNS 도메인 → IP 변환
RPC 원격 함수 호출
NIS 계정 정보 관리

 

반응형